본문 바로가기
📕책·강의 요약(나답게 배우는 중)

"10년 뒤 우리, 여기서 다시 만나" 잊고 있었던 낭만이 말을 걸어왔다.

by joieplay 2025. 8. 26.
반응형

효율과 속도가 미덕이 된 시대, 예측 불가능한 약속만큼이나 비효율적인 것이 또 있을까요? "10년 뒤에 보자"는 말은, 어쩌면 "다시는 보지 말자"는 말의 가장 아련한 동의어일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만약, 그 약속이 진짜라면 어떨까요? 우연히 KBS 다큐멘터리 3일의 한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10년 전, 2015년 여름의 안동역. '내일로' 기차 여행을 하던 두 여대생이 촬영팀과 "10년 후 오늘, 이 시간, 이 자리에서 다시 만나자"는, 어쩌면 무모하고 어쩌면 비현실적인 약속을 남깁니다.

 

그리고 카메라는 정말로 10년의 시간이 흘러, 약속의 그날 그 장소를 비춥니다. 영상을 보는 내내, 그리고 영상이 끝나고 수많은 사람들의 댓글을 읽는 내내, 저는 잊고 있던 어떤 감정이 울컥 차오르는 것을 느꼈습니다. 우리는 이 동화 같은 이야기에 왜 이토록 열광하는 걸까요?

낭만

 

삭막한 현실 속, 우리가 '낭만'이라 부르는 것들

이 영상의 댓글 창은 단순한 감상평을 넘어, 우리 시대가 잃어버린 '낭만'에 대한 수많은 고백들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사람들은 저마다의 이유로 이 이야기에 자신의 마음을 포개고 있었습니다.

 

첫째, 결과보다 '과정'을 응원하는 마음

연락처 하나 없이, 그저 기억 하나에 의지한 채 약속 장소로 향하는 발걸음. 약속이 지켜질지, 지켜지지 않을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 불확실한 결과보다, 약속을 기억하고 그 장소로 향하는 그 순수한 '마음' 자체를 응원하고 있었습니다. 어쩌면 우리는, 모든 것이 데이터와 성과로 측정되는 세상 속에서, 이처럼 계산되지 않은 순수한 과정에 목말라 있었는지도 모릅니다.

 

둘째, '변하지 않는 것'에 대한 갈망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영상 속 주인공들은 물론, 그들을 지켜보는 우리들의 삶에도 수많은 변화가 있었을 겁니다. 누군가는 꿈을 이뤘고, 누군가는 꿈을 접었으며, 새로운 관계를 맺고 또 어떤 관계는 떠나보냈겠죠. 하지만 "다시 만나자"는 약속 하나가 10년의 세월을 관통해 이어지는 것을 보며, 우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치 않는 것'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깊은 안도감과 위로를 받습니다. 그것이 우정이든, 사랑이든, 혹은 자기 자신과의 약속이든 말이죠.

 

셋째, '예측 불가능성'이 주는 설렘

약속의 날, 안동역에 폭탄이 설치되었다는 신고가 접수되는 황당한 사건이 벌어집니다. 이 예측 불가능한 소동마저도, 사람들은 '역시 인생은 알 수 없어 더 재미있다'며 하나의 낭만으로 받아들입니다. 우리의 삶이 계획대로만 흘러가지 않기에, 그 빈틈을 채우는 우연과 인연, 그리고 작은 기적들이 더 소중하게 빛난다는 것을 우리는 본능적으로 알고 있는 것이 아닐까요?

 

반응형

그래서, 당신의 '낭만'은 무엇인가요?

댓글 속 한 분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돈가스가 유행하던 시절, 통닭 한 마리를 사 들고 당당하게 귀가하던 아버지의 뒷모습이 제 인생의 첫 낭만이었어요." 그렇습니다. 낭만은 거창한 곳에 있지 않았습니다. 전국 일주를 꿈꾸는 라이더의 헬멧 속에도, 응원하는 야구팀의 꼴찌 성적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팬의 마음속에도, 30년 전 당구장에서 시작된 부부의 인연 속에도 '낭만'은 있었습니다. 그것은 어쩌면, 효율의 반대말, 계산되지 않은 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켜나가는 어떤 것. 삭막한 현실을 견디게 해주는 나만의 '의미'이자 '이야기'일 것입니다.

 

당신의 낭만을 응원하며

결국 10년 전의 주인공 한 명이 약속 장소에 나타났을 때, 저는 그것이 한 사람의 약속이 지켜진 것을 넘어, 우리 모두의 마음속에 잠들어 있던 작은 낭만 하나가 응답받은 것 같은 기분이 들었습니다. 이 영상을 보고 난 당신의 마음에도, 분명 무언가 따뜻한 것이 차올랐을 거라 믿습니다. 그것이 무엇이든, 부디 사라지게 두지 마세요. 계산하지 않고, 효율을 따지지 않고, 그저 마음이 향하는 그곳에 당신의 낭만이 있을 테니까요. 오늘, 당신의 낭만은 무엇에게 말을 걸어오고 있나요?

kbs제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