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온열질환 대처법 - 더위 질병 상식

by 프리소어 2024. 6. 18.
반응형

열사병(Heat Stroke)

 

정의 및 증상

• 체온을 조절하는 신경계(체온조절 중추)가 열 자극을 견디지 못해 그 기능을 상실한 질환

‣ 중추신경 기능장애(의식장애/혼수상태)

‣ 땀이 나지 않아 건조하고 뜨거운 피부(>40℃) ‣ 심한 두통, 오한, 빈맥, 빈호흡, 저혈압

 

• 다발성 장기손상 및 기능장애와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치사율이 높아 온열질환 중 가장 위험한 질환

 

대처요령

○ 119에 즉시 신고하고 아래와 같이 조치합니다.

-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깁니다.

- 환자의 옷을 느슨하게 하고 환자의 몸에 시원한 물을 적셔 부채나 선풍기 등으로 몸을 식힙니다.

- 얼음주머니로 목, 겨드랑이 밑, 서혜부에 대어 체온을 낮춥니다.

 

 

 

열탈진 (Heat exhaustion)

 

정의 및 증상

• 열로 인하여 땀을 많이 흘려 수분과 염분이 적절히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 발생

‣ 땀을 많이 흘림(과도한 발한), 차고 젖은 피부, 창백함

‣ 체온은 크게 상승하지 않음(≤40℃)

‣ 극심한 무력감과 피로, 근육경련

‣ 오심 또는 구토, 혼미, 어지럼증(현기증)

 

대처요령

○ 시원한 곳 또는 에어컨이 있는 장소에서 휴식합니다.

○ 물을 섭취하여 수분을 보충해 줍니다.

○ 시원한 물로 샤워를 하거나 목욕을 합니다.

○ 증상이 1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회복되지 않을 경우,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적합한 진료를 받습니다.

- 병원에서 수액을 통해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합니다.

 

 

열경련 (Heat cramp)

 

정의 및 증상

• 땀을 많이 흘려 체내 염분(나트륨)이 부족하여 근육경련이 발생하는 질환

‣ 근육경련(팔, 다리, 복부, 손가락)

 

• 특히 고온 환경에서 강한 노동이나 운동을 할 경우 발생

 

 

대처요령

○ 시원한 곳 또는 에어컨이 있는 장소에서 휴식합니다.

○ 물을 섭취하여 수분을 보충해 줍니다.

○ 시원한 물로 샤워를 하거나 목욕을 합니다.

○ 증상이 1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회복되지 않을 경우,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적합한 진료를 받습니다.

- 병원에서 수액을 통해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합니다.

 

 

열실신 (Heat syncope)

 

정의 및 증상

• 체온이 높아져 열을 외부로 발산하기 위해 체표면의 혈액량은 늘어나고 심부의 혈액량은 감소하여 뇌로 가는 혈약량이 부족하여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는 질환

‣ 실신(일시적 의식소실), 어지러움증

 

• 주로 앉아있거나 누워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일어나거나 오래 서 있을 때 발생

 

대처요령

○ 시원한 장소로 옮겨 평평한 곳에 눕힙니다.

- 다리를 머리보다 높게 올립니다.

○ 의사소통이 될 경우, 물을 천천히 마시도록 합니다.

 

 

열부종 (Heat edema)

 

정의 및 증상

• 체온이 높아져 열을 외부로 발산하기 위해 체표면의 혈액량은 늘어나고 심부의 혈액량은 감소하여 이런 상태에서 오래 서 있거나 앉아있게 되면 혈액 내 수분이 혈관 밖으로 이동하면서 부종(몸이 붓는 증상)이 발생

‣ 중추신경 기능장애(의식장애/혼수상태)

‣ 손, 발, 다리 등의 부종

 

대처요령

○ 시원한 장소로 옮겨 평평한 곳에 눕힙니다.

- 부종이 발생한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올립니다.

 

 

 

열발진/땀띠 (Heat rash)

 

정의 및 증상

• 땀관이나 땀관 구멍의 일부가 막혀서 땀이 원활히 표피로 배출되지 못하고 축적되어 작은 발진과 물집이 발생하는 질환

‣ 중추신경 기능장애(의식장애/혼수상태) ‣ 여러 개의 붉은 뾰루지 또는 물집(목, 가슴상부, 사타구니, 팔, 다리 안쪽)

 

대처요령

○ 환부를 시원하고 건조하게 유지합니다.

○ 발진용 분말가루 및 연고 등을 사용합니다.

 

 

참고자료

1. 국민재난 안전포털에서 제공하는 자연재난 행동요령

반응형